EBS 다큐프라임_자본주의 1부_돈은 빚이다.-(인플레이션,빚,양적완화이자는 어디에서 오는가?)
자본주의란 무엇인가?

50년간 대한민국 통화량 / 50년간 대한민국 물가
통화량이 늘어난 만큼 물가가 올랐다.


1970년 $1,000 금 28oz / 2012년 $1,000 금 0.58oz

물가가 계속 오르는 큰 이유는 돈이 많아졌기 때문


돈이 많아진다=가치가 떨어진다.

* 인플레이션(통화팽창)
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오르는 경제 현상
* 시중 통화량 조절을 위해 중앙은행에서 하는 일
- 이자율 통제
- 화폐 발행


* 양적 완화
중앙은행이 화폐를 찍어 통화량을 늘림으로써 경기방어와 신용경색을 해소하는 정책
=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내려도 효과가 없을 때 직접 돈을 푸는 방법
이자는 어디에서 오는가?

어느 섬에 중앙은행 a와 시민b 시민c 만 산다.

중앙은행에서 발행한 돈은 딱 10,000원


b가 5%로 빌려 1년 뒤 이자와 원금을 합해
10,500원으로 갚기로 함

b는 c에게 10,000을 주고 배를 한 척 사서 열심히 고기를 잡아 돈을 벌었다.


과연 1년 뒤 갚을 수 있나? NO


섬에 있는 돈은 딱 10,000원
은행 시스템엔 애초에 이자가 없다.
방법은 다시 돈을 찍어내는 것 뿐.

중앙은행이 500원을 발행하고,

그걸 누군가 대출하면 섬에 있는 돈은 10,500원

B가 열심히 일을 해서 섬에 있는 10,500원 모두를 벌면 빌린 돈과 이자를 갚을 수 있다.

그럼 D가 빌린 500원은?
또 만들어야 하고 또 누군가 빌려야 한다
내가 빚을 갚는다 = 누군가는 이자를 갚을 수 없다. = 누군가는 파산
수입이 적고 빚이 많고 경제사정이 어려운 사람이 제일 먼저 피해자가 됨.

결론= 이자가 없기 때문에 계속 돈을 찍어내야 한다.

=인플레이션(통화팽창)

결국 누군가는 빚을 진다.
은행에서 뿐 아니라 정부에서도 돈을 풀면 인플레이션이 온다.


이자와 대출을 갚는 유일한 방법은 더 많은 대출을 해주는 것.
= 통화량을 팽창, 통화의 가치를 떨어뜨림
이 것이 인플레이션의 기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