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BS 다큐프라임_자본주의 1부_돈은 빚이다. -1 (하이퍼인플레이션,디플레이션,콘드라티에프파동,모기지)
본문 바로가기
험한 세상 재테크/ebs자본주의

EBS 다큐프라임_자본주의 1부_돈은 빚이다. -1 (하이퍼인플레이션,디플레이션,콘드라티에프파동,모기지)

by surviving-100 2024. 1. 16.
728x90
반응형

 

자본주의란 무엇인가?

 

* 하이퍼인플레이션 (hyperinflation)

급격하게 발생한 인플레이션(통화팽창).

물가 상승현상에 통제를 벗어난 초인플레이션 상태

짐바브웨에서 2008년에 사용한 달러

한해 최고 2억 3천 100만% 의 물가 상승률을 기록 함

극심한 실업률을 극복하고 외채를 상환하기 위해 너무 많은 화폐를 찍어 국고로 사용했다.

* 빚 보전 법칙

= 누군가 빚을 갚으면 누군가는 파산하게 된다.

모든 돈이 빚에서 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.

자본주의 사회 = 경쟁이 필연적

다른이의 돈을 뺏어야 하기 때문에.

 

* 디플레이션(deflation)

통화량의 축소로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정체

시중에 돈의 양이 줄어든다.

돈이 부족 > 돈을 못갚는 사람이 많아진다> 대량 부도 사태, 파산

> 통화량 줄어듦> 돈이 돌지 않아 기업이 위축

> 생산과 투자 줄어듦, 일자리 부족

 

* 콘드라티에프 파동

인플레이션이 온 후에는 디플레이션이 온다.

호황이 상품을 만들어 번 돈이 아닌 빚으로 쌓아올린,

인플레이션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.

자본주의 경제 환경에선 장기 순환 주기가 존재한다.

48~60년 정도 주기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한다.

이자율 하락=디플레이션의 절정

 

* 모기지

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부동산 담보로 돈을 빌린 후 장기간에 걸쳐 상환하는 것.

금융회사에서 빚을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들까지.

빌려서는 안되는 사람까지도 돈을 빌려줌.

그 돈으로 집사고 차사고.-> 부동산 가치 하락 -> 빚을 못갚음 -> 금융위기

 

 

728x90
반응형

TOP

Designed by 티스토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