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 반응형 다큐프라임4 EBS 다큐프라임_자본주의 1부_돈은 빚이다. -(기축통화, 금태환제도) 자본주의란 무엇인가? * 기축통화 국제거래에 통용되는 결제 수단 = 달러 * 금 태환 제도(Gold Standard System) ▶ 브레튼우주협정 미국 중심으로 44개 연합국 대표가 모여 외환 금융시장 안정, 무역 활성화 목적으로 맺음. 미화 35달러=금 1온스로 고정 그러나 베트남 전쟁으로 달러 가치 하락 > 금으로 요구 급증 > 금 확보 어려움 > 다른 나라에서 달러가치 의심 >1971 8월 리처드닉슨대통령 금 태환제 철폐 © 1971년 이전에 달러 - 은행에 가면 언제든지 금으로 바꿔준다. © 1971년 이후 달러 - 금과는 무관 1971년 금으로부터 자유로워짐 금과 무관하게 달러 발행 * 달러를 발행하는 곳은? 미국 연방준비은행(FRB)에서 달러 발행 한국중앙은행 = 정부기관 미국연방준비은행 =.. 2024. 1. 22. EBS 다큐프라임_자본주의 1부_돈은 빚이다. - (자본주의, 100원이 190원이 되는 기적? 돈이 만들어지는 원리) 부동산이던 경제던 공부를 해야겠는데 어떻게 시작할지 몰라하다 전에 보다 말았던 다큐가 생각났고 정주행하기 시작했다. 1부를 보다 이해가 어려우니 보다 끄고 하다가 보니 총 3번 봤는데 이제야 조금 이해가 간다. 내가 이해하고 꺼내보고 싶어 정리한 내용. 기억이 흐려질 때 기억하기엔 정리만큼 좋은게 없지 정리를 해 놓으면 나중에 주제만 꺼내 대충 봐도 이해가 간다. 그것을 생각하면 정리해 놓으면 참 좋은 것 같다. 하나로 다 묶으면 찾기도 힘들고 지겨울것도 같아서 1부를 쪼갰다. 이 내용을 보며 내가 몰랐던 돈의 세계를 알게됐다. 정말...돈돈하며 살아가는 이유가 ..맞았다는 것이.. 자본주의란 무엇인가? "돈"이 지배하는 세상. 돈이란 무엇인가? 우리가 물건을 살 때 가격 균형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.. 2024. 1. 4. EBS 다큐프라임_자본주의 1부_돈은 빚이다. -(은행의 시초, 지급준비율, 뱅크런(금융위기),예금자보호법) 자본주의란 무엇인가? 은행의 기원 * 부분지급준비율 : 은행이 예금 고객에게 줄 돈을 쌓아둬야하는 비율 * 부분지급준비율의 시초 과거에 돈=금이었고 거래하기엔 무거워 16세기 영국 금 세공업자가 휴대하기 편하게 금화로 만들고, 사람들은 금화로 거래를 하였다. 개인 금고보다 안전했던 금 세공업자의 금고를 빌려쓰기 시작하면서 보관료를 받으며 돈을 벌었는데, 나중엔 금화 대신 보관증만 오고가며 금화처럼 사용되었고 이를 보고 생각한 금 세공업자는 맡겨둔 금화를 필요한 사람들에게 빌려주고 이자를 받기로 한다. = 지금의 대출 이 이자로 돈을 많이 벌게된 세공업자. 이를 알게된 금화 주인들이 찾아왔고 금 세공업자는 대출을 해주고 받은 이자의 일부를 예금주에게도 나눠주겠다며 거래를 함 = 지금의 예금이자 하지만 여기.. 2023. 12. 31. EBS 다큐프라임_자본주의 1부_돈은 빚이다.- (은행이 돈을 만드는 과정, 신용통화, 신용창조) 자본주의란 무엇인가? 은행이 돈을 만드는 과정 은행에 100억이 들어오면 10%(지급준비율)만 놓고 나머지 90억을 대출해준다. 이 90억은 갑자기 생긴 돈이다. 난데 없이 생긴 돈을 신용통화 라고 한다. * 신용통화 채권과 채무의 관계에서 화폐 기능을 대신하는 증서 은행권, 어음, 수표 실제 시장에서 도는 통화량은 190억이 된 셈이다. 90억은 지급준비율 10% 떼고 81억을 만들고 81억은 72억을 만들고 .... 이렇게 돈이 계속 불어나는 과정을 '신용창조'라고 한다. * 신용창조 은행이 대출 등을 통해 최초 예금액의 몇 배 이상으로 또 다른 돈(신용화폐)을 만들어내는 과정. 돈을 찍어내는 신용창조는 좋은 것만은 아니다. 과도한 신용 확장은 부채 수준을 높이고 이 것은 금융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.. 2023. 12. 30.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